오라클

· SQL/DCL
작성일자 : 2023-07-08 Ver : 0.1.1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를 관리 목적으로 보안, 무결성, 회복, 병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한다. DCL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읽거나 쓰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거나 박탈할 수 있고 트랜잭션을 명시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불법적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보안의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한 무결성을 유지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회복과 병행수행을 제어한다. 1) GRANT 권한을 정의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2) REVOKE 권한을 삭제하는 명령어
· SQL/DML
작성일자 : 2023-08-06 Ver : 0.1.1 1.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TCL 문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트랜잭션을 제어할 수 있다. 현재 트랜잭션의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저장(COMMIT)하고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현재 트랜잭션의 변경 내용을 모두 취소(ROLLBACK)하고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ROLLBACK이 가능한 저장점(SAVEPOINT)을 생성한다. -------------------------------------------- 트랜잭션 1 시작 INSERT INTO t1 ... ; UPDATE t1 ... ; COMMIT ; -------------------------------------------- 트랜잭션 1 종료(변경 내..
· SQL/DML
작성일자 : 2023-07-24 수정일자 : 2023-08-02 Ver 0.1.2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언어이다. 데이터를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SELECT문을 제외한 DML문은 데이터의 변경 및 LOCK을 발생 시키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다른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류 설명 INSERT 문 테이블에 신규 행을 삽입하는 SQL 문 UPDATE 문 테이블에 기존 행을 갱신하는 SQL 문 DELETE 문 테이블에 기존 행을 삭제하는 SQL 문 MERGE 문 두 집합(소스, 타겟) 간에 데이터를 병합하는 SQL 문 1. IN..
작성일자 : 2023-07-15 수정일자 : 2023-07-23 Ver : 0.1.2 1. PIVOT Oracle 11g 버전부터 사용 가능 FROM 절과 WHERE 절 사이에 기술한다. aggregate_funtion(arg)에는 PIVOT 결과로 출력할 값을 지정 FOR 절에는 PIVOT 기준 컬럼을 지정 IN 절에는 PIVOT 기준 컬럼의 값을 지정 Syntax SELECT Col1, Col2, ... FROM Table/Inline View PIVOT (aggregate_funtsion(arg) [, aggregate_function(arg2),...] FOR Col1 [,Col2, ...] IN (Value1 [, Value2,...) ); Example SELECT * FROM (SELECT ..
Unlimited Jun
'오라클' 태그의 글 목록 (4 Page)